-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1장. 주식투자 전략: 기법은 달라도 목표는 같다책/퀀트 2023. 4. 29. 23:57
주식투자 기법
- 액티브 투자
- 성장주 투자
성장률이 과거에도 높고, 장래에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주식에 투자 - 가치주 투자
현재 주가가 내재가치보다 낮은 주식을 찾니다. PER( PER(주가/주당 순이익), PSR(주가/주당 매출액) 등을 이용해 주가가 내재가치보다 낮은 주식에 투자
- 성장주 투자
- 패시브 투자
- 인덱스 투자
- S&P 500과 같은 지수 추종 투자
- 인덱스 투자
전통적 액티브 기법 무용론
액티브 펀드 대부분이 S&P 500 지수보다 수익률이 저조하다.
=> 패시브 인덱스 투자가 각광. 초과 수익이 아닌 시장 수익이라도 얻기 위함이다.
- 학문적 관점: 시장은 합리적이라 모두 반영되어 있고 랜덤워크라 규칙을 찾을 수 없다.
- 책의 관점: 아니다. 랜덤워크가 아니다. 예를 들면 낮은 PER, PCR, PSR인 주식들은 늘 장기적으로 투자자에게 이익을 안겨주었다.
랜덤워크란?
금융에서의 랜덤워크 가설은, 주식 가격의 변화는 서로 독립적이며 따라서 과거의 주식 가격 변화 움직임이나 시장 전체의 변화가 미래의 가격 변화를 추측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서 주식 가격은 임의적이며 예상할 수 없는 경로를 따른다고 생각하는 이론이다.
출처: 시사경제용어사전- Q0. 그렇다면 왜 액티브 펀드는 저조했나?
A0. 전략을 끈질기게 유지하지 않고 본성에 휘둘렸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설명한다. - Q1. 전통펀드 성과는 왜 랜덤워크 형태였나?
A1. 펀드 매니저들의 행동에 일관성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인덱스 투자 왜 효과적인가?
S&P 500 인덱스 투자 수익률과 대형주 수익률(83년 누적) 비교 시, 거의 동일한 연 수익률을 보인다.
즉, S&P 500 수익률은 '시장 수익률'이 아닌 '대형주 수익률'이라는 말이다. 또한, 일관되게 유지된 대형주 매수 전략이다.
그렇지만, 책에서 주장하기로는, 단순 인덱스 전략보다 수익률이 좋은 전략이 많다. 이전에는 구성요소(PER 등)와 성과의 상관 분석이 어려웠지만, 컴퓨터를 사용하여 이제 분석이 가능하며 이를 사용하여 전략 테스트와 생성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저자는 이 장에서 전략과 투자자의 일관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말하고 있다.
관념의 세계에서는 만사가 열정에 좌우되지만,
현실의 세계에서는 만사가 인내심에 좌우된다.
괴테'책 >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5장. 시가총액별 주식 순위: 크기가 중요하다 (0) 2023.05.03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4장. 게임의 규칙 (0) 2023.04.30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3장. 사람들의 실수가 만들어주는 엄청난 기회 (0) 2023.04.30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2장. 전문가는 탁월한 성과를 가로막는 걸림돌 (0) 2023.04.30 월가의 퀀트 투자 바이블 - 보고에 앞서 (0) 2023.04.29 - 액티브 투자